티스토리 뷰
목차

다가오는 2025년 4월 2일 재보궐선거에서는 투표소에 직접 갈 수 없는 유권자들을 위해 거소투표가 진행됩니다. 하지만 아직 많은 분들이 거소투표가 무엇인지, 어떻게 신청하는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죠.
이번 글에서는 거소투표의 개념, 신청 방법, 유의사항 등을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.
거소투표란?
거소투표란 선거일에 투표소에 직접 갈 수 없는 유권자가 자신이 있는 곳에서 우편으로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쉽게 말해, 몸이 불편하거나 특정한 이유로 인해 투표소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죠.
거소투표 신청 대상
✔ 병원·요양소에 입원 중인 사람
✔ 교도소·구치소에 수용된 사람
✔ 신체에 장애가 있어 투표소 방문이 어려운 사람
✔ 군인·경찰 등 투표소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근무하는 사람
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한 외딴 섬 거주자
이 외에도 특정한 경우에는 거소투표 신고를 통해 우편 투표가 가능합니다. 내가 거소투표 대상인지 헷갈린다면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거소투표 신청 방법
신청 기간: 2025년 3월 11일(화)~3월 15일(토) 오후 6시까지
✔ 신청 기간이 짧기 때문에 마감 전에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신청 방법
1️⃣ 거소투표 신고서 작성
- 신고서는 관할 구·시·군 선거관리위원회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.
- 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.
들어가셔서 밑으로 이동하시면 hwp 다운받기가 있습니다.
2️⃣ 신고서 제출
- 우편 발송 또는 직접 방문 제출
- 우편으로 보낼 경우, 기한 내 도착해야 접수 완료됩니다.
3️⃣ 접수 확인
- 신청 후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연락이 오면 접수 완료된 것입니다.
- 만약 접수 확인이 어려울 경우, 해당 기관에 문의하세요.
거소투표 신고서 다운로드
거소투표 진행 절차
✔ 거소투표 신고 후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우편으로 투표용지를 발송합니다.
✔ 받은 투표용지에 기표 후 다시 우편으로 회송하면 됩니다.
✔ 4월 2일 선거일 오후 8시까지 도착해야 유효표로 인정됩니다.
⚠ 주의사항
- 반드시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공한 회송용 봉투를 사용해야 합니다.
- 투표용지를 훼손하거나, 기표를 잘못할 경우 무효표 처리될 수 있습니다.
- 기한 내 도착하지 않으면 투표가 인정되지 않으므로, 최대한 빨리 보내야 합니다.



4·2 재보궐선거 실시 지역
이번 선거에서는 부산광역시 교육감 선거,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 선거가 포함됩니다.
✔ 교육감 선거: 부산광역시
✔ 기초단체장 선거: 서울 구로구, 충남 아산시, 전남 담양군, 경북 김천시, 경남 거제시 등
✔ 광역의원 및 기초의원 선거: 대구, 경기, 충남, 경북 등 다수 지역
각 지역별 후보 및 선거 정보는 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거소투표, 꼭 해야 하는 이유
많은 사람들이 “몸이 불편하면 투표를 포기해야 하나?”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거소투표 제도 덕분에 누구나 자신의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. 선거는 내 삶과 직접 연결된 중요한 권리입니다. 거소투표 대상자라면 꼭 신고하고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세요!
마치며
거소투표는 몸이 불편하거나 일정상 직접 투표소에 갈 수 없는 분들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.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고, 반드시 우편으로 기한 내 투표용지를 보내야 유효표로 인정됩니다.
투표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내 권리를 행사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. 다들 바쁘고 힘들겠지만,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거소투표를 통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길 바랍니다. 그리고 무엇보다 안전하게 투표를 마칠 수 있도록 유의하세요!



✔ 거소투표 신고 기간: 3월 11일(화) ~ 3월 15일(토)
✔ 투표용지 마감 기한: 4월 2일(수) 오후 8시까지
📩 지금 바로 거소투표 신청하고,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세요!
'생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결혼식 답례글 예시 & 작성 가이드 (2) | 2025.03.15 |
---|---|
보금자리론 중도상환방법 따라하기 (PC & 모바일) 및 수수료 (1) | 2025.03.12 |
배민커넥트 - 배민 배달 알바 (도보 자전거 오토바이) (1) | 2025.03.08 |
자녀 증여 한도액 | 절세 전략 총정리 (2025년) 🚨 (1) | 2025.03.04 |
청약통장 25만원. 무엇이 달라질까? (0) | 2025.03.03 |